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자바
- 이기적 리눅스 마스터 2급
- axios
- vue 독학
- 이기적
- vue 앱만들기
- java
- 템플릿 리터럴
- JWT
- 유니티
- Node.js
- 반복문
- vue 로그인
- React
- quasar
- Unity
- Transform
- 노드
- Vue.js
- 형변환
- Vue
- Scanner
- npm start
- vue jwt
- Rigidbody
- for문
- 컴포넌트
- package.json
- 리눅스마스터2급
- 리액트
- Today
- Total
목록java (4)
나아가기

람다식이란? 람다식(Lambda Expression)이란 함수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. 함수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면 메소드의 이름이 필요없기 때문에, 익명 함수(Anonymous Function)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. 이렇게 람다식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불필요한 코드를 줄이고,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. 하지만 디버깅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. 기존의 함수 호출 방식은, Prac1이라는 메소드명을 필요로하는 형식이었다. public String Prac1(){ return "Hello World!!"; } 하지만 람다식을 이용한 함수 호출 방식은, 메소드명이 불필요하고 괄호()와 화살표 -> 를 이용해 함수를 선언하게 된다. //람다식 //(매개변수, ...) -> { 실행문 } () -> ..

조건문 : if문 괄호( )안의 조건식이 참이면, 중괄호{ } 안의 문장들을 수행합니다. if문의 예시 -> "만약_if + 조건식(score > 60)이 참이면, 중괄호{'합격입니다'를 출력하세요} "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 System.out.println("정수 입력: "); int score = sc.nextInt(); if(score >=60){ System.out.printfln("합격입니다"); } } if-else 문 조건식이 거짓일 경우에 수행될 문장들을 else문에 작성합니다. if(조건식) { "조건식이 참일때, 수행될 문장" } else { "조건식이 거짓일때, 수행될 ..

삼항연산자 삼항 연사자(? :)는 3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를 말합니다. 삼항연산자는 ? 앞의 조건식에 따라 콜론(:) 앞뒤의 피연산자가 선택된다고 해서 조건 연산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. (조건식) ? (피연산자2) : (피연산자3) -> 조건식을 연산하여 참이 나오면 결과는 피연산자2가 됩니다. But, 조건식을연산하여 거짓이 나오면 결과는 피연산자3이 됩니다. int score = 95; char grade = (score > 90) ? 'A' : 'B' ;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{ int score = 85; char grade = (score > 90) ? 'A' : ((score > 80) ? 'B' : 'C'); System.out.p..

#변수의 선언과 저장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값을 저장해 둘 공간이 필요한데, 그 공간을 변수(variable)라고 합니다.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, 즉 변수가 필요하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합니다.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은, "변수타입 변수이름;" 1. int x; -> 정수(integer)를 저장하기 위한 변수 x 선언 2. x = 5; -> 변수 x에 정수 5를 저장 3. x = 3; -> 변수 x에 기존에 저장된 값은 지우고, 3을 저장 #상수와 리터럴 상수(constant)도 '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'이지만, 변수와는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 타입 앞에 키워드 'final'을 붙여주기만 하면 됩니다. final int ..